온라인 예배의 다양한 도구들

COVID-19으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많은 논의를 통해 COVID-19 그 이후를 위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특히 많은 교회들이 예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글을 통해 IT 기술을 활용하여 어떻게 현재의 상황을 대처할 수 있는지, 특별히 소형 교회 및 미자립 교회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대안에 대하여 나누어 보려고 합니다. 이 글이 이민교회 및 한국 교회의 사역 현장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바랍니다.

교회에 적합한 온라인 예배 도구를 선택하라
COVID-19의 사태를 맞이하여 많은 교회들이 현장에서 드리는 주일 예배를 온라인 예배로 전환하였습니다. 많은 교회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입니다. 이 방법을 통해 교회는 현장예배를 대처하거나, 예배를 드리지 못하는 성도들을 위하여 예배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많은 교회들이 온라인 스트리밍을 사용하지만, 예배를 위한 온라인 도구를 선택할 때 교회가 먼저 생각해야 될 중요한 질문이 있습니다. 그것은 지금 사용하는 혹은 사용하려고 하는 도구가 지역 교회의 사역 현장에 적합한 도구인가에 대한 부분입니다. 교회의 현장을 살펴보면, 교회는 자립교회와 미자립교회,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예배 공간의 유무, 연령차 등의 각기 다른 상황과 환경에 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회는 무엇보다 교회의 상황과 환경을 먼저 면밀히 검토하여 적합한 온라인 도구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잘 알려진 것처럼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 예배란 교회 현장에서 드려지는 예배를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 방송하는 예배를 말합니다. 성도들은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인터넷이 연결되는 모든 장소에서 예배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온라인 스트리밍을 커뮤니케이션 도구라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 온라인 스트리밍이라는 방송매체는 기본적으로 양방향 소통이 아닌 단방향 커뮤니케이션 형태를 갖습니다. 따라서 대면 예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공동체적 친밀감, 상호 연대 의식 등등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이 문제는 현실적으로는 자립교회보다는 미자립교회나 개척 교회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교회가 작아질 수록 행사나 프로그램 보다는 성도 간의 깊은 관계성에 의존하는 성향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예배의 현장을 잘 전달하는 것에 특화되어 있는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은 기본적으로 그 한계를 갖기 때문에 관계성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교회들은 ZOOM, WebEX 등으로 알려진 화상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사용하여 예배를 드리거나, 친교나 소그룹 등으로 이 방법을 사용하여 관계적 친밀감과 상호 연대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화상 커뮤니케이션은 몸은 떨어져 있지만 참여하는 이들을 동시간 대에 화면을 통해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는 함께 예배를 드린다는 소속감과 친밀감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소통과 관계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교회나 목회자들은 Zoom을 사용한 예배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화상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사용한 예배 방법
ZOOM, WebEX, BlueJean 등의 화상 커뮤니케이션을 사용하면 솔루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예: 화면 공유 기능)을 적절하게 사용하면 보다 온라인을 통해서도 현장감 있는 예배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솔루션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상 커뮤니케이션 솔루션은 기본적으로 화상 회의 등 비지니스 환경에 특화되어 개발된 솔루션입니다. 다양한 사용자 환경을 제어하며 실시간 영성 전송이 가능하고 특별히 대화를 나눌 때 feed back이나 노이즈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기술들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반대로 예배 현장의 음질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원음 사운드가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게 하는 한계를 갖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화상 커뮤니케이션 솔루션을 사용하여 예배를 드리기 원하는 분들은 솔루션이 갖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추가적인 방법들을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찬양은 미리 녹화를 한 후 화면 공유기능을 통해 예배 시간에 송출을 하거나, Youtube 등에 있는 찬송가나 복음성가 영상을 공유 기능을 통해 사용하게 되면 예배 찬양에 대한 음질의 문제와 보다 준비된 예배가 가능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또한 원격지에 있는 예배 순서자의 실시간 참여, 목회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도들을 마주하며 설교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상 커뮤니케이션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화상 커뮤니케이션 도구는 예배를 마친 후 이어지는 친교 시간을 위해, 교육 및 회의 등을 위해 도움이 되기 때문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화상 커뮤니케이션 솔루션은 온라인 기도회를 위한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온라인 기도회의 경우 익숙해지면 1시간 동안 기도회를 할 수 있는데, 사용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인도자는 찬양을 한 곡 혹은 두 곡을 부른 후 간단히 말씀을 전하고 기도회를 인도합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찬양을 인도할 때 노이즈 및 Feedback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인도자를 제외한 모든 참여자의 마이크는 음소거(mute)를 해야 합니다. 그러나 반대로 기도할 때는 참여자들의 마이크를 켜서 함께 기도를 하는 환경을 만듭니다. 함께 기도하는 소리는 합심기도를 격려하는 힘이 될 수 있습니다.

함께 기도할 때 주의할 점은 기도회에 참여하는 분들이 컴퓨터나 모바일기기에 너무 가까이에 얼굴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는 자신의 기도 소리가 다른 사람에게 너무 크게 들려져 다른 사람이 기도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인도자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마이크를 통해 송출되는 기도소리는 현장에서 드리는 기도회와 달리 자신의 목소리가 아주 solid하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돈된 영상을 송출해야 합니다
온라인을 통한 예배를 컨텐츠라는 측면으로 생각할 때,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예배에 참여하는 성도들입니다. 이는 달리 말하면 ‘사용자 경험’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현장 예배와 달리 예배를 드리는 성도는 훨씬 더 제약된 상황에서 예배를 드리게 됩니다. 성도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단말기를 통해 예배 컨텐츠를 전달받으며 예배에 참여하게 됩니다. 따라서 교회는 예배를 드리는 성도들의 입장에서 교회가 전달하는 예배 컨텐츠의 Quality에 대하여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어떻게 하면 성도들이 온라인 예배에 집중하도록 돕고 은혜를 끼칠 수 있을까요?

이 질문을 받았을 때 사람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는 부분을 생각하여 다이나믹한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기본기에 충실한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온라인 라이브 영상에 사용하는 자막의 경우 가독성을 고려한 폰트를 사용하지 않거나, 과도한 색 등을 사용하지 않고, 또 적절한 사이즈의 폰트를 사용하지 않아 오히려 예배의 집중도를 떨어트리는 것을 보게됩니다. 또한 일부 교회들은 4:3 비율의 PPT를 좌우로 강제로 늘려서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작은 부분일 수 있지만, 단말기 화면만을 의지하여 예배를 드리는 성도들에게 이는 모두 예배를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교회는 이 사실을 인지하고 성도들이 예배에 집중할 수 있는 기본적인 온라인 환경을 만들수 있어야 합니다.

최소한의 장비 투자, 아끼면 안됩니다
좋은 화질과 사운드로 방송을 내보낼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답은 간단합니다. 좋은 장비를 갖추면 됩니다. 당연한 소리인 것 같지만, 방송을 위해서는 방송을 위한 장비가 꼭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즉 예배 또는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장비 및 편집 및 송출 프로그램에 대한 최소한의 투자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합니다. 매주 온라인을 통해 주일예배의 자리로 나오는 이들을 생각한다면 최소한의 투자는 꼭 필요합니다. 주변잡음이 가득하고, 어둡고 흐린 화면을 통해 예배를 1시간 동안 듣고 바라보아야 하는 것은 예배에 참여하는 성도들에게는 곤혹스러운 시간이 될 수 있습니다. 장비가 투자가 되어야 하는 것이 부담이 될 수 있지만 그래도 다행인 것은 시대가 발전하며 가성비가 좋은 장비들이 많아졌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지금은 특히 인터넷 스트리밍을 위한 장비는 예전과 달리 많은 비용을 지출하지 않아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장비가 필요합니다. 캠코더, 영상 캡처카드, 오디오 인터페이스,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의 경우 OBS와 같은 온라인 스트리밍 송출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마이크나 악기 등을 사용하지 않은 것은 교회들이 이미 기본적으로 갖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도구에 대하여 좀더 세부적으로 설명을 하면, 캠코더는 기본적으로 4K가 지원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K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영상 캡처카드(예: AverMedia)는 캠코더와 호환성이 좋은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일부 캡처카드는 캠코더와 호환성 문제를 갖고 있기 때문에 호환이 잘되는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마이크나 악기를 통해 전달되는 시그널을 컴퓨터로 전달하는 장비입니다(Focusrite, M-Audio 등).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경우는 구입전에 먼저 교회에서 사용하는 콘솔(Mixer)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디지털 믹서는 기본적으로 오디오 인터페이스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아날로그 콘솔(Mixer)에도 기본적으로 내장이 되어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디오 인터페이스 기능 유무를 확인해야 재정이 낭비되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더욱이 설교자를 포함하여 찬양팀이나 성가대 등 많은 채널을 사용하기 원할 경우에는 디지털 콘솔(Mixer)을 사용하거나 Allen & Heath의 ZED 시리즈 등과 같은 아날로그 콘솔(Mixer)이지만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콘솔(Mixer)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한데 잘 알려진 OBS Studio 프로그램 등을 사용하면 됩니다.

참고로 혹 어떤 분들은 핸드폰을 사용하여 송출할 수 있기 때문에 위에 언급된 장비들이 필요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바일 기기를 사용해보면 여러가지 제약이 있는 것을 보게됩니다.
예를 들어 핸드폰 카메라는 줌인 줌 아웃의 한계를 갖고 있기에 강단 가까운데 설치해야 하고 이는 청중의 시선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핸드폰이나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마이크는 설교자의 음성뿐만이 아닌 주변 잡음과 울림소리까지 전달하기 때문에 설교자의 소리를 깨끗하게 전달할 수 없는 한계를 갖고 있습니다. 소리는 중요한데, 주변 잡음이 차단된 깨끗한 음질은 예배를 드리는 성도가 온라인을 통해 장시간 예배를 드릴 때 겪을 수 있는 피로를 줄이고, 예배의 집중력을 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기 보다는 할 수만 있다면 온라인 예배를 드릴 수 있는 최소한의 기본적인 환경을 제공해야 할 것입니다. 더욱이 COVID-19의 상황이 계속 진정되지 않고 있는 현실이기 때문에 교회는 좀더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온라인 예배를 위한 기본적인 투자를 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Author's Post

Get The Latest Updates

뉴스레터 구독하기

구독을 하시면 이메일을 통해 다솜라디오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를 보내드립니다.

Newsletter Signup